6/30/2024

영작문법 7 문장의 연결-종속절-명사절


종속접속사(Subordinating Conjunction)에는 "명사절(Noun Clause)", "형용사절(Adjective Clause)", "부사절(Adverb Clause)"을 만드는 접속사들이 있고, 종속접속사로 연결된 문장은 Complex Sentence(복문)로 부르며 Essay를 쓸 때 Sentence의 질을 높여 주는 중요한 도구가 됩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명사절"을 집중적으로 공부하겠습니다.

"명사절(Noun Clause)"이란 "명사(Noun)"+"절(Clause)"입니다. 쉽게 말하면 "절"이 명사 위치에 쓰인 것입니다. 그러면 명사는 어디에 쓰일까요? "주어", "보어", "목적어" 위치에 쓰이지요. 다시말해 "명사절"이 "주어, 보어, 목적어" 위치에 쓰일 때 명사절 역할을 합니다.

 

명사절(Noun Clause)은 절(Clause)이 주어, 보어, 목적어에 쓰인 것


"명사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명사절 접속사"를 알아야 합니다. "명사절 접속사"는
 that, wh- 의문사(when, where, which, who, whom, why, what, whatever, whomever, whoever, whether), How 등이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명사절 접속사를 Conjunction의 앞자 CO만 따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명사절의 위치

1) 주어자리

CO S+V V
주어자리

How he met her is unclear. 
그가 그녀를 어떻게 만났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What Mike said made me surprised. 
마이크가 말한 것이 나를 놀라게 했다.


2) 보어자리

S+V+CO S+V
        보어자리

The only problem was that we didn't have enough time.
유일한 문제점은 우리가 충분한 시간이 없었다는 것이었다.

My favourite part is when the drama ends.
내가 좋아하는 부분은 그 드라마가 끝나는 부분이다.


3) 목적어자리

(1) S+V+CO S+V
               동사의 목적어자리

I know how I can solve the problem.
나는 그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안다.

I realized that it wasn't too late.
나는 너무 늦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2) P CO S+V
     전치사의 목적어자리

I will write an essay on what makes a good leader.
나는 무엇이 좋은 리더를 만드는지에 관한 에세이를 쓸거다.


2. That 절 

 

▷ that 절은 주어, 보어, 목적어에 쓰이지만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지 않습니다.

 

1) 주어자리 

That change is needed is clear.

→ It is clear that change is needed.

주어에 that절을 쓰는 경우보다 가주어(it)를 쓰는 문장이 더 일반적이다.

 

주의: 많은 분들이 "주어 위치의 that을 생략가능한지 질문합니다"만 생략 불가능합니다.  

 

2) 보어자리 

Our plan is that we are going to build a house.

우리 계획은 집을 짓는 것이다. 

 

주의: 보어 위치의 that도 생략 불가능합니다. 

 

3) 목적어자리 

I believe that Jim is innocent.

나는 짐이 무죄라고 믿는다.

 

참고: 목적어 자리에 오는 that은 종종 informal하게 쓸 경우 생략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동사 다음에서 자주 생략됩니다. (say, tell, think, believe, know, suggest, expect, hear, be surprised, be glad, etc.)

 

Some people say that life is too short.

 Some people say life is too short.

 

주의: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는 that절을 쓰지 않습니다.

The explorer landed on that is now Oats Coast. (X)

 The explorer landed on what is now Oats Coast. (O)

 

 

▷ 동격의 that 절

"the fact that," "the belief that," "the idea that," "the evidence that," "the dream that" 등 추상명사가 오면 that절을 동격으로 쓸 수 있습니다.

 

We appreciate the fact that water is vital to life. 

물이 생명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에 우리는 감사한다.

 

 

▷ 동사원형을 쓰는 명사절

that 절에 동사원형을 쓰는 명사절이 있습니다. Subjunctive Verb와 Imperative Adjective를 사용하는 that절 입니다. 어떤것인지 궁금하시죠. 여기 [영작문법#47링크를 클릭하세요.

 

#명사절 #that 주어 #주어자리 that은 생략 불가능 #목적어 자리 that은 생략 가능 #동격의 that 절

단어어원 6 Tri = 3 (three)

 




1. Tricycle = n. a three-wheeled vehicle

      cycle < wheel, circle

※ 3바퀴를 가진 탈 것 = 세발자전거

 

2. Trisect = v. divide into three parts

      sect < cut

※ 3개로 나누다 = 3등분하다

 

3. Trilogy = n. a series of three books, plays, or movies

      logos < word, speech

※ 같은 주제를 가진 3개의 이야기, 연극, 영화 등 = 3부작 

The Lord of the Rings is a popular trilogy consisting of high fantasy adventure films.

 

4. Tripod = n. a support with three legs for equipment such as a camera

      pod < foot

※ 3개의 발을 가진 도구 = 삼각대

 

5. Triathlon = n. an athletic contest consisting of three different events

       athlon < contest 

※세가지 운동경기 = 3종경기


단어어원 5 Bi = 2 (two)

 



1. Bicycle = n. a two-wheeled vehicle

     cycle < wheel, circle

※ 두 개의 바퀴를 가진 탈 것 = 자전거

 

2. Bilingual = adj. able to speak two languages, n. a person who speaks two languages

     lingual < of the tongue            

※ 두 개의 혀를 가진, 혀는 언어를 뜻함 = (형)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명) 이중 언어 구사하는 사람

 

3. Bipartisan = adj. supported by two (political) parties

      partisan < part 

※ 두 개의 부분을 가진 = 두 개의 정당을 가진 

 

4. Bisect = v. divide into two equal parts

      sect < cut

※ 두 개로 나누다 = 양분하다, 이등분하다 

 

5. Binomial = adj. consisting of two terms or names. n. math. a polynomial with two terms

      nomen < name

※ 두 개의 항을 가진 이름 = (명) 이항식, (형) 이항식의 

6/29/2024

영작표현 11 in search of ~을 찾아서

 


 "In search of"라는 표현은 "~을 찾아서"라는 의미로 무언가를 찾기 위해 노력하거나 이동하는 상황에 사용됩니다. 

 

모험, 발견, 또는 새로운 기회를 찾아 나서기 때문에 이동에 관련된 동사(verb)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Numerous individuals relocated to urban centres in search of employment opportunities.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대도시로 이주했습니다.

The Mars rover is set to launch from Florida in search of ancient life on the Red Planet.
화성 탐사 로버는 붉은 행성의 고대 생명체를 찾기 위하여 플로리다에서 발사 대기 중 입니다.

In search of a quieter lifestyle, the family moved to the countryside.
조용한 생활을 찾아서, 그 가족은 시골로 이사했습니다.

The scientist traveled to the Arctic in search of evidence for climate change.
그 과학자는 기후 변화의 증거를 찾기 위해 북극으로 여행했습니다.

In search of inspiration, the writer embarked on a journey around the world.
영감을 찾아서, 그 작가는 세계 일주 여행을 시작했습니다.

 

영작표현을 e-book으로 만들었습니다. 더 깊이 공부하고 싶으시면 핵심영작표현 e-Book 을 클릭하세요.

영작표현 10 set the stage for ~을 위한 기초를 닦다

 


 

"set the stage for"는 "~을 위한 기초를 닦다, ~을 위한 준비를 하다, ~을 위한 장(무대)을 마련하다" 의미입니다.

 

"Set the stage for"는 무언가를 가능하게 하거나 새로운 기회를 준비할 때 사용합니다. 

 

Communicating your expectations clearly will set the stage for success.

기대를 명확히 전달함으로써 성공을 위한 무대를 마련합니다.

 

By using social media, you can set the stage for your business growth.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사업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토플 Reading에 나온 문장

By holding in rather than venting steam, we set the stage for future explosion.

화를 즉시 표출하지 않고 참음으로써, 미래의 큰 폭발을 위한 무대를 준비합니다.

 

The company’s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sets the stage for innovation.

회사의 연구 개발 투자는 혁신을 위한 기초를 마련합니다.

 

The teacher’s guidance set the stage for the students’ academic success.

선생님의 지도는 학생들의 학업 성공을 위한 무대를 마련했습니다.

 

The new policy sets the stage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새로운 정책은 환경 지속 가능성을 위한 기초를 닦습니다.

 

영작표현을 e-book으로 만들었습니다. 더 깊이 공부하고 싶으시면 핵심영작표현 e-Book 을 클릭하세요.

영작표현 9 Pave the way for ~을 향한 길을 닦다

 


 

"Pave the way for/to"는 "~을 향한 길을 닦다" "~을 가능하게 하다"의 의미로 무언가를 가능하게 하거나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때 사용합니다.

 

Martin Luther King Jr. paved the way for human rights movements.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인권 운동의 새 장을 열었다.

 

A local grocery store in this city paved the way for online grocery shopping.

이 도시의 한 지역 식료품점은 온라인 쇼핑의 선구자가 되었다.

 

South Korea’s democratic government paved the way for economic growth.

한국의 민주정부는 경제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The new education policy paves the way for a more inclusive classroom environment.

새 교육 정책은 더 포괄적인 교실 환경을 위한 길을 닦는다.

 

The recent technological advancements have paved the way for remote work.

최근 기술 발전은 원격 근무의 길을 열었다.

 

The peace treaty paved the way for reconcili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평화 조약은 두 나라 간 화해의 길을 열었다.

 

영작표현을 e-book으로 만들었습니다. 더 깊이 공부하고 싶으시면 핵심영작표현 e-Book 을 클릭하세요.

영작표현 8 Feel a strong bond 강한 유대감을 느끼다

 


 

Feel a strong bond (with)”는 "(~와) 강한 유대감을 느끼다"의 의미로 사람들 사이의 깊은 연결감이나 친밀감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Siblings often feel a strong bond growing up together.

함께 자란 형제자매는 종종 강한 유대감을 느낀다.

 

Teammates feel a strong bond after a hard-fought win.

치열한 승리 후 팀원들은 강한 유대감을 느낀다.

 

Artists feel a strong bond through shared creativity.

공통의 창의력을 통해 예술가들은 강한 유대감을 느낀다.

 

People often feel a strong bond with their childhood friends.

사람들은 종종 어린 시절 친구들과 강한 유대감을 느낀다.

 

We feel a strong bond with nature when hiking in the mountains.

산을 등반할 때 우리는 자연과 강한 유대감을 느낀다.

 

Students feel a strong bond with a teacher who inspires them.

학생들은 자신을 영감을 주는 선생님과 강한 유대감을 느낀다.

 

영작표현을 e-book으로 만들었습니다. 더 깊이 공부하고 싶으시면 핵심영작표현 e-Book 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