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9/2024

영작문법 3 문장의 확장 - 주어부분과 설명부분

 


영작문법 1과 2에서 배운 "주어+동사"에 부속성분을 추가하면 문장이 확장됩니다.

 

"부속성분"에는 "형용사어구"와 "부사어구"가 있습니다. 

 

부속성분은 [영작문법#4]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합니다. 

 

부속성분을 주어부분에 추가해 주거나, 설명부분에 추가해 주면 문장이 확장됩니다. 

 

주어부분은 동사 앞에 위치하며, 설명부분(Predicate)은 동사부터 문장 끝까지를 부르는 말입니다. 

 

A. "주어부분"에 부속성분을 추가하면 문장이 확장된다. 

A man is singing

A man in a blue hat is singing.

A man in a blue hat with red plumes is singing

빨간 깃털이 있는 파란 모자를 쓴 사람이 노래를 부르고 있다.

 

B. "설명부분"에 부속성분을 추가하면 문장이 확장된다.

We live.

We live on rice.

We live on rice on a farm.

We live on rice on a farm overlooking a river.

우리는 강이 내려다 보이는 농장에서 쌀을 주식으로 먹으며 산다.

영작문법 2 문장구조-동사의 이해

 


가변동사와 불가변동사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action verb)는 가변동사(Transitive Verb)와 불가변동사(Intransitive Verb)가 있습니다.

가변동사(Transitive Verb)는 "trans-"라는 접두사에서 알 수 있듯이 "바꿀 수 있는" 즉 "가변"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뭘 바꿀 수 있다는 말일까요? 네, 수동태로 바꿀 수 있다는 뜻입니다. 가변동사는 목적어를 취하기 때문에 수동태로 전환시 목적어를 주어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가변동사가 수동태로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

반대로, 불가변동사(Intransitive Verb)는 "in-"이라는 접두사가 "not"을 의미하듯이 "바꿀 수 없는" 즉 "불가변"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 동사들은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수동태로 전환도 불가능합니다.

[참고] 한국의 문법책들은 가변동사를 타동사로, 불가변동사를 자동사로 부르고 있으나, 이 일본식 용어를 버리고 쉬운 용어로 바꾸어 쓰기를 권장합니다. 가변/불가변동사로 이해하면 용어 자체만으로도 많은 정보들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중요] 대부분의 동작동사는 상황에 따라 가변동사와 불가변동사로 겸해서 사용됩니다.

 

A. 『~을/~를』이 떠 오르면 가변동사(타동사)를 씁니다. 

“나는 그 카페에서 아침 먹었습니다.”
I ate breakfast at the cafe.
('아침을’에서 '을’이 목적어를 나타내므로 'ate’를 가변동사로 사용했습니다.)

“나는 개 산책시키고 있습니다.”
I am walking the dog.
('개를’에서 '를’이 목적어를 나타내므로 'walking’을 가변동사로 사용했습니다.)

“그녀는 피아노 연주합니다.”
She plays the piano.
('피아노를’에서 '를’이 목적어를 나타내므로 'plays’를 가변동사로 사용했습니다.)


모든 가변동사가 "을/를"을 떠올리게 하지는 않습니다. 즉, “~을/~를”이 떠 오르지 않는 "가변동사(타동사)"도 있습니다.

“그 기차는 그 도시 도착했습니다.”
The train reached the city.

(reach가 가변동사로 쓰였지만 "을/를"이 떠오르지 않습니다)


B. 『~을/~를』이 떠오르지 않으면 불가변동사(자동사)를 씁니다.


A.에서 동작동사 eat과 walk를 썼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eat은 가변동사(타동사)로, walk는 불가변동사(자동사)로 외워 두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래의 예를 보시기 바랍니다.


“나는 그 카페에서 식사했다.”
I ate at the cafe.
(목적어 없이 'ate’를 사용하여 불가변동사로 사용했습니다.)

“나는 홀로 걷고 있다.”
I am walking alone.
(목적어 없이 'walking’을 사용하여 불가변동사로 사용했습니다.)

 

A.에서 가변동사로 쓰였던 eat과 walk는 위 문장에서는 불가변동사로 쓰였습니다.


“그 기차는 그 도시에 도착했다.”
The train arrived in the city.
('arrive'를 불가변동사로 쓴 경우입니다.)

“우리는 공원에서 뛰었습니다.”
We ran in the park.
(목적어 없이 'ran’을 사용하여 불가변동사로 사용했습니다.)

이렇게 가변동사와 불가변동사를 문맥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영작문법 1 문장구조-주어의 이해



A. 주어(subject)가 『~은/~는/~이/~가』의미이면 주어 위치에 『명사(noun) 또는 대명사(pronoun)』를 쓴다.

John은 학생이다.”

John is a student.

 

지구는 둥글다.”

The earth is round.

 

그는 선생님이다.”

He is a teacher.

 

B. 주어가 『~하는 것은 또는 ~하기는』의 행동(action)을 나타내면 주어 위치에 『동명사(gerund = ~ing)』를 쓴다. 

 

영어로 글 쓰는 것은 어렵지 않다.”

Writing in English is not difficult. 

 

[중요] To 부정사를 주어로 쓸 수는 있지만 너무 격식체(too formal)이기 때문에 "It is/was [형용사] to [verb] 문장구조가 더 많이 쓰인다. 

 

To write in English is not difficult.(잘 쓰이지 않음) 

 It is not difficult to write in English.(더 많이 쓰임)

 

걷기는 최고의 운동이다.”

Walking is the best exercise.

 

뛰기는 건강에 좋다.”

Running is good for your health.

단어어원 6 Duo - Two 둘



Duo(Latin) = Two

Duplex(Latin) = Twofold

 

1. Duplicate = v. n. copy

       plicare < fold

※ (종이) 두 개를 접으면 한 쪽의 내용이 다른 한 쪽에 카피됨 = 카피(복사)하다

 

2. Dual = adj. double

※ 이중의

 

3. Duplex = n. a house divided into two units

                adj. twofold, double

※ (명사) 2세대용 주택, (형용사) 2중의

 

4. Dubious = adj. feeling doubt

※ 두 가지 뜻을 품은 = 의심스러운

단어어원 5 Unus-One 하나

 


 

unus는 라틴어에서 온 단어어원으로 one 즉 하나라는 의미입니다.

 

앞에서 배웠던 monos와 같은 의미이지만, monos는 그리스어에서 온 어원입니다.

 

1. Unicycle [uni=one + cycle=wheel, circle] = n. a one-wheeled vehicle

※ 바퀴 한개로 된 탈 것 = 외바퀴 자전거 

 

2. Univocal [uni=one + vocal=voice, sound] = adj. 1) unclear / ambiguous 2) having one meaning only

※ 여러 사람이 하나의 목소리를 내면 불분명하게 들린다

따라서 1) 불분명한, 2) 의미를 하나만 가지는

 

3. Uniform [uni=one + form=shape] = adj. having only one form  n. clothes worn by one group

※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 adj. 균일한, 똑같은, n. 유니폼(옷)

 

4. Unify [uni=one + fy=make] = v. make one

※ 하나로 만들다 = 통일시키다

 

5. Unanimous [un=one + anmous=mind, spirit] = adj. in complete agreement, of one mind

※ 모두 한 마음을 가진 = 만장일치의

단어어원 4 monos 하나

 


 

"monos"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하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monos가 여러 root와 결합하여 새로운 뜻을 이루게 됩니다.

Monos(Greek) = one

 

1. monologue [mono=one + logue=word, speech] = n. a long speech by one person 

※ 혼자서 하는 말 = 독백 

 

2. monarch [mon=one + arch=ruler] = n. a king or queen 

※ 한명의 지배자 = 왕 또는 여왕 

 

3. monopoly [mono=one + poly=to sell] = n. exclusive control of the trade  

※ 물건을  혼자서 판매 = 독점

 

4. monotonous [mono=one + tonous<tone] = adj. boring

※ 목소리의 톤이 한가지인 = 지루한

단어어원 3 Clude 닫다

 


Clude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어원으로, “to close” 즉 "닫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어원은 다양한 영어 단어들의 기반이 되며, 'Clos’와 같은 변형을 통해 여러 의미로 확장됩니다.



1. Include (포함시키다)
Include는 '안(in)'에 넣고 문을 '닫다(close)'의 조합으로, '포함시키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 Coffee and snacks are included in the price. (커피와 스낵이 가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2. Exclude (제외시키다)
Exclude는 ‘밖에(ex)’ 두고 문을 '닫다(close)'의 조합으로, 특정 대상을 '제외시키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 Mike was excluded from the birthday party. (마이크는 생일 파티에서 제외되었습니다.=초대받지 못했습니다)

 

3. Preclude (막다/예방하다)
Preclude는 사건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pre)’ 문을 '닫다(close)'의 조합으로, ‘막다’ 또는 '예방하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 COVID-19 has precluded in-person fundraising events. (COVID-19은 대면 모금 행사를 못하도록 했습니다.)

 

4. Conclude (결론내리다)
Conclude는 ‘모든 것을(con)’ 고려하여 일을 '끝마무리 짓다(close)'의 조합으로, '결론을 내리다’는 의미입니다.

예) He concluded his writing by summarizing the main points. (그는 중요한 점들을 요약하므로써 글의 결론을 내렸다.)

 

5. Recluse (은둔자)
Recluse에서 're’는 '강조어’로 사용되며, 여기서는 '뒤에 있는(back)'의 의미로 쓰입니다. '뒷 산의 동굴에 가서 문을 굳게 닫아버리다(close/shut up)'의 의미로 이해하면 되겠고, '은둔자’를 의미하며, 형용사로는 '속세를 떠난’으로 사용됩니다.

예) He is a recluse who refuses to appear in public. (그는 대중 앞에 나오기를 거부하는 은둔자입니다.)


6. Enclose (봉하다, 에워싸다)
Enclose는 ‘안에(en)’ 넣고 '봉함하다(close)'의 조합으로, ‘봉하다’ 또는 '에워싸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 I have enclosed the documents in a sealed envelope. (나는 봉인된 봉투에 문서를 동봉했습니다.)


7. Disclose (공개하다, 밝히다)
Disclose에서 dis는 '반대로'의 의미이므로 '감춰진 것(close)을 반대로하다.'  즉, ‘공개하다’ 또는 '밝히다’의 의미로 쓰입니다.

예) No personal information was disclosed to unauthorized parties. (승인받지 않은 자들에게 개인 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