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레이블이 영작문법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영작문법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7/16/2024

[영작문법#18] 커마, 콜론, 세미콜론 완전 정리

 이번 강좌에서는 Writing할 때 실수하기 쉬운 것들 커마, 콜론, 세미콜론 이 세가지를 모두 확실히 정리해 봅니다.

 

커마, 콜론, 세미콜론은 각각 다른 구조로 쓰이며, Writing할 때 서로 성격이 다른 곳에 쓰이기 때문에 정확히 알아야 틀리지 않습니다.

 

커마 같은 경우엔 점 하나가 뭐가 그리 중요해!라고 하실지 모르지만 커마 하나가 영어 문장의 의미를 완전히 바꾼다는 사실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Comma ( , )

 

1. 부사절을 문장 앞에 쓸때 부사절 끝나는 곳에 커마를 찍습니다.

If it rains tomorrowI will stay at home.  

내일 비가 오면 집에 있을거에요.

 

그러나 부사절이 문장 뒤에 나오면 comma를 찍지 않습니다.

I will stay at home if it rains tomorrow.

 

 

2. 두 문장을 등위접속사(for, and, nor, but, or, yet, so)로 연결할 때 커마를 찍습니다.

Our team played hardand we won the game easily.

우리 팀은 열심히 뛰었고, 우리는 쉽게 게임을 이겼습니다.

 

It was cold yesterdaybut kids played outside.

어제는 추웠지만 아이들은 밖에서 놀았습니다.

 

It was cold yesterday, so we decided to stay inside.

어제는 추웠기 때문에 우리는 실내에 머물기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주어를 공유하면 comma는 찍지 않습니다.

He left home and got back to work.

 

자세한 내용은 [영작문법#6 등위접속사] 편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3. 셋 이상을 열거할 때 커마를 찍습니다.

Fossil fuels include coal, natural gas, and crude oil.(Chicago Style)

화석연료는 석탄, 천연가스, 원유가 포함됩니다.

Fossil fuels include coal, natural gas and crude oil.(AP Style)

 

※ 중요: 셋 이상 열거할 때 and 앞에 comma를 찍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이것은 writing style에 따라 다른 것이지 맞거나 틀린 것이 아닙니다. 미국 영어의 style guide book 중에서 "The Chicago Manual of Style"과 "The Associated Press Stylebook" 두 가지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Serial comma(셋 이상 열거)에서 and/or 앞에 comma를 찍는 것은 "Chicago 스타일"로 ""이나 "논문 출판"에 주로 쓰이고, 찍지 않는 것은 "AP 스타일"로 informal한 "신문기사"에 주로 쓰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이 학술 에세이나 formal한 글을 쓰려면 comma를 찍고, informal한 글을 쓰려면 찍지 않아도 됩니다.  

 

※ 주의: 두개만 열거할 때 comma를 찍지 않습니다.

 

Fossil fuels include natural gas and crude oil.(O)

 

Fossil fuels include natural gas, and crude oil.(X)

 

 

4. 주어 앞에 아이디어를 도입하는 단어나 구를 쓸 때 커마를 찍습니다. 


To save time and money, many people eat at fast-food restaurants.

시간과 돈을 절약하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패스트푸드 식당에서 식사를 합니다.

 

It is cloudy today. Therefore, it may rain. 

오늘은 흐립니다. 따라서 비가 올 수 있습니다.

 

 

 

Colon ( : )

1. 콜론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S+V: words.

S+V: phrases.

S+V: S+V.

 

There were three kinds of pyramids: step, bent, and straight-sided.(O)

피라미드에는 스텝형, 굽은형, 직선형의 세 종류가 있습니다.

 

 

주의: 동사 뒤에 목적어, 보어 자리에 또는 전치사 뒤에 콜론 찍으면 틀립니다.

I bought: apples and oranges.(X)

→ I bought some fruit: apples and oranges.(O)

나는 과일을 샀어요. 사과와 오렌지를 샀지요.

 

Major transportation methods are: bus, train, and airplane.(X)

→ Major transportation methods are bus, train, and airplane.(O)

주요 교통 수단은 버스, 기차, 비행기입니다.

 

I used to live in: Toronto, Montreal, and Vancouver.(X) 

→ used to live in big citiesToronto, Montreal, and Vancouver.(O)

저는 토론토, 몬트리올, 밴쿠버와 같은 대도시에서 살았습니다.

 

 

2. 앞 내용을 요약하거나, 재해석하거나, 확대해석할 때 콜론을 사용합니다.

He can't read properly: that's his problem.(요약)

그는 제대로 읽을 수 없습니다. 그것이 문제입니다.

 

He faces a big problem: he can't read properly.(problem을 확대해석)

그는 큰 문제에 직면했습니다. 그는 제대로 읽을 수 없습니다.

 

His writing was brilliant: it was clear, brief, and logical.(재해석)

그의 글은 훌륭했습니다. 명확하고 간결하며 논리적이었습니다.

 

 

3. 인용문(quote)을 가져올 때 콜론을 사용합니다.

Mark Twain said it best: "When in doubt, tell the truth."

마크 트웨인은 "의심스러운 경우 진실을 말하십시오."라고 가장 잘 말했습니다.

 

※ 인용문 문장 전체를 가져올 경우 반드시 대문자로 시작합니다.

 

 

4. formal business letter 시작할 때, 시간, 성경 장과절, 약자 등에 사용합니다.

To Whom It May Concern:

Dear Hiring Manager:

 

※ informal하게 쓸 때는 콜론 대신 커마를 찍기도 합니다.

Dear Mr. Smith,

 

The meeting begins at 9:30.

 

Genesis 1:1 (창세기 1장 1절)

 

Mr. Kim,

Mrs. Johnson

The U.S.A.

 

 

 

Semicolon ( ; )


접속사 대용으로 쓰는 세미콜론의 구조는 "반드시" 다음과 같이 써야 됩니다.

 

S+V; S+V.

 

1. 세미콜론은 문장을 연결할 때 등위접속사 대신 씁니다. 

I went to Superstore; I bought some apples and oranges.  

저는 Superstore에 갔어요; 사과와 오렌지를 샀습니다.

 

= I went to Superstore, and I bought some apples and oranges.  

 

 

2. 세미콜론은 접속부사(however, therefore, thus, consequently, otherwise, nevertheless 등)와 함께 접속사 대신 문장의 논리 관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It was cold yesterday; however, kids played outside. 

어제는 추웠습니다. 그러나 아이들은 밖에서 놀았습니다.

 

It was cold yesterday; thus, we decided to stay inside.

어제는 추웠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실내에 머물기로 결정했습니다.

 

It is cloudy todaytherefore, it may rain. 

오늘은 흐립니다. 따라서 비가 올 것 같습니다.

 

주의: 접속부사는 접속사가 아니기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면 틀립니다.

It was cold yesterday, however, kids played outside.(X)

 
It was cold yesterday; however, kids played outside.(O)

 

3. 커마가 혼동을 유발할 때 세미콜론을 쓸 수 있습니다.


Major Canadian cities are Toronto, Ontario, Montreal, Quebec, and Vancouver, British Colombia.

 

위와 같이 comma로 연결할 경우 도시와 주를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semicolon을 쓰면 명확하게 구분이 됩니다.

 

Major Canadian cities are Toronto, Ontario; Montreal, Quebec; and Vancouver, British Colombia.

캐나다의 주요 도시는 온타리오주 토론토, 퀘벡주 몬트리올, 브리티시 콜롬비아주 밴쿠버입니다.

7/08/2024

영작문법 12 문장연결하기-종속절-부사절


이번 강좌는 종속접속사(Subordinating Conjunction)의 마지막 접속사인 부사절(Adverb Clause)에 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부사절은 절(Clause)이 부사(Adverb) 역할하는 것입니다. 부사는 문장에서 동사, 형용사 또는 다른 부사를 꾸미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사절은 부사절을 만드는 접속사가 있어야 되는데 이 접속사가 쓰이는 절을 부사절이라고 합니다.

 

부사절 접속사(Adverb Clause)

부사절 접속사 종류
시간: when, before, after, whenever, while(~동안), since(~이래로), until, once, as(~할 때), as soon as, as long as
이유: because, since(~때문에), in that(~라는 면에서/때문에), as(~때문에)
대조: while, whereas (반면에)
조건if, even if, only if, unless
장소: where, wherever
비교: than, as+adj/adv+as (~처럼 ~한)
원인/결과: so+adj/adv+that S+V, such+noun+that S+V (아주 ~해서 ~하다)
목적S+V so that S+V (~하기 위하여 / 그래서)
가장as if, as though (마치 ~처럼)
부분인정: although, even though, though(비격식)
선택: whether (or not), if (or not) (~인지 아닌지)

 

부사절 위치(Position of Adverb Clause) 

부사절은 문장 앞, 중간, 뒤에 다 올 수 있으며, 문장 앞에 올 때 부사절과 주절 사이에 comma(,)를 찍습니다. 반면에 문장 뒤에 부사절을 쓰면 comma를 찍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부사절은 문장 중간에도 올 수 있지만 이 구조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지 않습니다.

문장 앞: When water is cooled, it contracts.

문장 중간: Water, when it is cooled, contracts.

문장 뒤: Water contracts when it is cooled.


영작시 주의해야할 부사절 사용

 

▶ 지금까지 살펴 본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 접속사를 이용하여 문장을 쓰게 되면 복문(Complex Sentence)이 됩니다.  

 

TOEFL / IELTS / SAT 등 에세이를 쓸 때 고득점을 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Complex Sentence를 정확히 쓸 줄 알아야 합니다. 

 

▶ 부사절을 문장의 앞에 두면 부사절 끝나는 부분에 반드시 ,(comma)를 찍어야 하지만, 문장 뒤에 쓸때는 ,(comma)를 찍지 않습니다.

 

When clouds form, heat is released. (comma 찍음)

Heat is released when clouds form. (comma 찍지 않음)

구름이 생길 때, 열이 방출된다.

 

▶ Formal English(격식체)에서는 Because는 문장 앞에 두지 않고, 문장 뒤에 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informal하게 쓸 때는 앞에 두기도 합니다.

 

Research is important because science is changing every day.

과학은 매일 변하기 때문에 연구가 중요하다.

 

※ 이유를 나타낼 때 since나 in that을 쓰기도 한다. Since는 문장 앞에, in that은 문장의 중간에 쓴다.

Since plants make food for themselves, they are known as producers.

[시간을 나타내는 since는 문장 앞/중간 다 쓰인다]

 

Plants and animals are similar in that they are composed of cells.

식물과 동물은 세포로 이루어진다는 면에서(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사하다.

 

▶ Whereas와 While은 "반면에" 의미를 가지지만 Whereas는 일반적으로 문장 뒤에, While은 문장 앞/뒤에 다 쓸 수 있습니다. 또한 Whereas는 좀 더 formal한 표현이고, while는 informal한 표현입니다.

 

Humans have a soul whereas animals do not.

Humans have a soul while animals do not.

인간은 영혼을 가지는 반면에 동물은 가지고 있지 않다.

While humans have a soul, animals do not.

 

▶ 원인/결과를 나타내는 so adj/adv that S+V와 such noun that S+V의 올바를 사용 방법 

 

"아주 ~해서(하기 때문에) ~하다"

 

S+V so adj/adv that S+V

 

A fly's wings are so thin that the veins show through.

파리의 날개는 아주 얇아서 혈관이 들여다 보인다. 

 

I speak so fast that others cannot understand me.

나는 말을 너무 빨리해서 다른 사람들이 내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

 

S+V such noun that S+V

 

I'm such a poor speaker that Pharaoh won't listen to me. (Exodus 6:30 출애굽기 6:30)

나는 입이 둔한 자이오니 바로가 어찌 나를 들으리이까.


▶ 목적 또는 결과의 so that

S1+V1 so that S2+V2로 쓸 때 다음 두가지 의미를 갖습니다.

 

1) "~하기 위하여" (이 때는 in order that과 같은 의미)

S1+V1: 결과

S2+V2: 목적

I got up early so that I wouldn't miss the bus.

나는 버스를 놓치지 않기 위하여 일찍 일어 났다.

 

I lowered the volume so that he couldn't hear. 

그가 듣을 수 없도록 나는 볼륨을 낮췄다.

 

2. "그래서" (이 때는 so that 앞에 comma를 찍는 것이 일반적)  

S1+V1: 원인

S2+V2: 결과

There were no buses, so that I walked home.

버스가 없어서 걸어서 집에 왔다.

 

I often clean up the computer, so that it uses less memory.

나는 자주 컴퓨터를 청소해서 컴퓨터가 메모리를 적게 사용한다.

7/06/2024

영작문법 11 문장연결하기-종속절-형용사절(4)-수량표현(# of which/whom)



이번 강좌는 관계대명사(Relative Pronoun)의 "수량표현(number/quantity)"입니다.


▶ 선행사가 사물일 때: # of which

▶ 선행사가 사람일 때: # of whom

 

먼저 선행사가 사물인 문장을 보겠습니다.

George Orwell wrote six novels, and some of them are still popular.

조지오웰은 6권의 소설을 썼고, 그 중 몇개는 아직도 인기가 있다.

→ George Orwell wrote six novels, and some of them are still popular.

them은 novels를 가르키고 사물이므로 관계사+대명사(관계대명사) 역할을 하는 which로 대체해 줍니다.

→ George Orwell wrote six novels, some of which are still popular.

이렇게 쓰면 더 고급스러운 문장이 됩니다.

 

George Orwell wrote six novels, and all of them are still popular. 

→ George Orwell wrote six novels, all of which are still popular. 

 

George Orwell wrote six novels, and most of them are still popular. 

→ George Orwell wrote six novels, most of which are still popular. 

  

George Orwell wrote six novels, and one of them is still popular.

이 때 동사는 one에 일치시키기 때문에 단수로 씁니다.

→ George Orwell wrote six novels, one of which is still popular.

수 일치 주의하세요.

 

George Orwell wrote six novels, and each of them is still popular.

이 때 동사는 each에 일치시키기 때문에 단수로 씁니다.

→ George Orwell wrote six novels, each of which is still popular.

수 일치 주의하세요.

 

Exercis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erobic, strength, and flexibility, and all of them improve your blood flow.

→ Exercis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erobic, strength, and flexibility, all of which improve your blood flow.  

 

이제 선행사가 사람인 경우를 살펴 보겠습니다.


Mr. Kim taught many students, and some of them are scientists now.

김선생님은 많은 학생들을 가르쳤는데 그 중 몇명은 지금 과학자이다.

→ Mr. Kim taught many students, and some of them are scientists now. 
선행사가 사람이므로 them을 whom으로 씁니다.

→ Mr. Kim taught many students, some of whom are scientists now. 

 

Mr. Kim taught many students, and all of them are scientists now.

→ Mr. Kim taught many students, all of whom are scientists now.

 

Mr. Kim taught many students, and most of them are scientists now.

→ Mr. Kim taught many students, most of whom are scientists now.

 

Mr. Kim taught many students, and one of them is a scientist now.

one of 의 동사는 one에 일치시킵니다.

→ Mr. Kim taught many students, one of whom is a scientist now.

 

Mr. Kim taught many students, and each of them is a scientist now.

each of 의 동사는 each에 일치시킵니다.

→ Mr. Kim taught many students, each of whom is a scientist now.

 

이번 강좌는 관계대명사의 비제한 표현에서 수량표현은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 봤습니다.

 

이 것으로 형용사절 강좌를 마치고 다음 강좌는 부사절로 넘어 가겠습니다. 

7/01/2024

영작문법 10 문장의 연결-종속절-형용사절(3)-관계부사



▶ 관계부사(Relative Adverb) = When, Where, Why

 

관계부사는 관계사절(Relative Clause)로써 선행사(Antecedent)인 명사(Noun)를 수식해 주기 때문에 형용사절(Adjective Clause) 기능을 합니다. 

눈치 채신 분들도 있겠지만 "어! 부사인데 형용사 역할을 하네?" 네 맞습니다. When, Where, Why는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이지만 명사(선행사) 뒤에서 명사를 꾸미기 때문에 형용사절Adjective Clause)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1. 관계부사 When, Where, Why

 

관계부사             사용                     전치사+관계대명사 예                      문장구조

When                    time when            in/on which                                          S+V 완전한 문장

Where                  place where          in/at which                                            S+V 완전한 문장

Why                    reason why            for which                                              S+V 완전한 문장

 

아래 각각의 세트 문장들은 위에는 관계부사 아래는 전치사+관계대명사의 조합입니다.

 

이 두가지의 의미 차이는 없지만 [전치사+관계대명사] 표현은 아주 격식(formal)을 갖춘 표현이므로 academic writing이나 formal speech에서 주로 쓰이고 일상적으로는 관계부사가 많이 사용됩니다.

 

December 25 is the day when Jesus Christ was born.

December 25 is the day on which Jesus Christ was born.

12월 25일은 예수그리스도께서 태어나신 날이다.

 

This is the manger where the baby was born. 

This is the manger in which the baby was born.

이 것이 그 아기가 탄생한 말구유란다.

 

I know the reason why the day is important.

I know why the day is important.

그 날이 왜 중요한지 나는 안다. 


the reason은 생략되어 쓰이지 않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I know the reason for which the day is important.

 

2. 제한(Restrictive) 또는 비제한(Nonrestrictive)

 

이미 문법#7에서 제한과 비제한 표현을 공부했습니다. 만약 이 개념이 잡히지 않은 분들은 이 강좌를 먼저 공부하신 후에 여기를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관계부사에서도 comma(,)를 찍으면 비제한, 찍지 않으면 제한 표현이 됩니다. 제한 표현은 선행사 의미를 제한시켜 주는 것이지만 비제한 표현은 선행사 의미를 제한시켜 주지 않습니다.

 

World War II began on September 1, 1939, when Germany invaded Poland.

2차 대전은 1939년 9월 1일에 발발 했는데 그 날 독일은 폴란드를 침략했다.

 

Vancouver, where I used to live, is one of the most beautiful cities.

밴쿠버는 내가 살았던 곳이고 가장 아름다운 도시 중 하나이다.

 

▶ reason why는 비제한 표현을 쓰지 않습니다.

 

3. 관계부사(Relative Adverb)와 부사절(Adverb Clause) 차이점

 

관계부사는 자리를 옮길 수 없지만 부사절은 위치를 옮길 수 있습니다.

 

관계부사: 선행사를 제한해야 되기 때문에 위치를 바꿀 수 없습니다.

 

Today is the day when I visited the museum. 

 

부사절: 수식해야할 선행사가 없으므로 위치를 바꿀 수 있습니다.

 

The weather was good when I visited the museum

When I visited the museum, the weather was good.

내가 그 박물관에 방문했을 때 날씨가 좋았다.

영작문법 9 문장의 연결-종속절-형용사절(2)-제한/비제한

 


관계대명사 공부할 때 학생들이 가장 이해하기 어려워 하는 부분이 바로 여기인 것 같습니다. 아마도 한국에서 배운 용어 탓일 것 같기도 한데, 한국에서 배우지 않은 학생들도 어려움을 겪습니다. 일단 용어 정리부터 하고 갑니다.

 

한국에서 출판된 문법책들을 보면 "Restrictive"는 "한정적" 또는 "제한적용법"으로 쓰여 있고 별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Nonrestrictive"는 "계속적용법"이라고 나와 있고, 선생님들에게서 그렇게 배웠을 것입니다. 하지만 관계대명사의 "Nonrestrictive"는 "계속적" 의미는 전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얼마나 잘못된 용어입니까? 잘못된 용어로 인해 혼동만 가중시킵니다.

 

▶ Nonrestrictive = "비제한 표현"으로 불러 주세요!


이 강좌를 보시는 순간부터 "계속적용법"이란 용어를 버리세요!! "비제한 표현"으로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Restrictive"는 "제한 표현"으로 익혀 두세요.

 

그럼 제한/비제한 표현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 보겠습니다.


▶ 제한 표현은 comma(,) 없이 쓰이지만, 비제한 표현은 comma(,)를 반드시 찍어 줍니다!


제한 표현은 선행사(antecedent)의 의미를 관계대명사가 제한시켜 줍니다. 선행사의 의미가 넓은 경우에 좁은 의미로 제한시켜 주는 것입니다.

 

Students get good grades.

학생들은 좋은 점수를 받는다.

 

위 문장은 모든 학생들이 좋은 점수를 받는 것을 보여 줍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학생들이 좋은 점수를 받는 것은 아니죠. 따라서 "학생들"의 의미를 "공부를 열심히 하는 학생들"로 좁혀 줄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이 때 "제한 표현"을 쓰게 되는 것입니다. 

 

Students who study hard get good grades.

공부를 열심히 하는 학생들은 좋은 점수를 받는다.

 

이제 아래 두 문장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My brother got a driver's licence.

내 누이는 운전면허증을 받았다.

 

만약 내 형이 한명이라면 위와 같이 쓰면 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하지만 나의 형이 여러명인데 그 중 특정한 도시에 살고 있는 형만 운전면허증을 받은 경우라면 어떻게 써야 할까요? 여러명의 형 중 한명이란 의미로 제한 시켜서 써야 되겠죠? 그러면 아래와 같이 써야 됩니다.  

 

My brother who lives in Toronto got a driver's licence. 토론토에 사는 내 형은 운전면허증을 받았다.


▶ 선행사의 의미가 모호하거나 특정하지 않다면 의미를 좁혀 주어야 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제한 표현(Restrictive)입니다. 


자 그러면 비제한 표현은 언제 쓸까요? 

 

위 문장에서 만약 내 형이 한명 있는데, 그 형은 토론토에 살고 있고, 운전면허증을 받았다로 표현하고 싶다면? 

 

My brotherwho lives in Toronto, got a driver's licence.

내 형은 토론토에 살고, 운전면허증을 받았다.

 

이렇게 씁니다.

 

I visited the Statue of Libertywhich is located in New York City.

나는 자유의 여신상을 방문했는데 이 것은 뉴욕시에 위치해 있다.

 

자유의 여신상은 한개만 존재하므로 비제한 표현을 씁니다.

 

Mike was born in Ottawawhich is the capital city of Canada.

마이크는 오타와에서 태어 났는데 오타와는 캐나다의 수도이다.

 

어차피 오타와는 캐나다에 하나 밖에 없는 도시이기 때문에 비제한 표현으로 쓴 것입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제한 표현으로 쓴다면 Ottawa가 캐나다에 여러 도시가 있는데 "그 중 수도인 오타와"란 말이 되어 모순이므로 아래와 같이 쓰지 않습니다.

 

Mike was born in Ottawa which is the capital city of Canada. (X)

 

World War II began on September 1, 1939when Germany invaded Poland.

 

1939년 9월 1일은 어차피 하나 밖에 없으므로 비제한 표현으로 써야 됩니다. 여기에서 when은 관계부사로 쓰였습니다.

 

Without ice, the bears must roam on the shorewhere they are spending more and more time away from their main food source.

얼음이 없으면, (북극)곰들은 해안을 서성거려야 하는데, 그 해안은 곰들이 음식을 주로 얻을 수 있는 장소와 멀리 떨어져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곳이다.

 

▶ 비제한 표현에서 comma(,) 뒤에 관계대명사 that은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The car, that I want to buy, is expensive. (X)

 

The car, which I want to buy, is expensive. (O)

그 차는 내가 사고 싶고 비싸다.

 

▶ 비격식체(informal)에서 문장 전체를 선행사로 받는 경우 비제한 표현을 사용합니다.

 

It stopped raining, and this ruined crops. 

비가 오지 않아서, 작물을 망쳤다.


→ It stopped rainingwhich ruined crops.

 

영작문법 8 문장의 연결-종속절-형용사절(1)

 


▶ 형용사절(Adjective Clause)은 절(Clause)이 형용사(Adjective) 역할 하는 절입니다. 다시 말하면 절(Clause)이 명사(Noun)를 수식하는 절이라고 보면 됩니다. 

▶ 형용사절이 수식하는 명사(Noun) 선행사(Antecedent)라고 부릅니다. 

▶ 형용사절의 대표적 절이관계대명사절(Relative Pronoun)이며, 관계대명사절은 주격(Subject)소유격(Possessive)목적격(Object)이 있습니다.


1. 주격(Subject)

▶ 주격은 관계대명사가 주어(subject) 자리에 쓰이 때문에 관계대명사 주격 다음에는 반드시 동사(verb)가 따라 나와야 합니다. 형태는 [noun + that/who/which + verb]로 쓰이기 때문에 이 structure를 기억해 놓으면 편리합니다.  

▶ 주격은 선행사(Antecedent)가 사물일 때 that/which를 쓰지만 사람이 올 때는 that/who를 씁니다. that은 선행사가 사람이든 사물이든 다 쓰일 수 있지만 informal(speaking) 표현에서 쓰이며 who/which는 formal(writing)에 쓰입니다.

 

(1) 선행사(Antecedent)=사물(that/which) 

I read a book. + The book contained useful information.
-> I read a book that contained useful information. 나는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는 책을 읽었다.
-> I read a book which contained useful information.
A book was interesting. + The book described how to make money.
-> A book that described how to make money was interesting. 돈 버는 방법을 기술한 책은 흥미로웠다.
-> A book which described how to make money was interesting.

 

(2) 선행사(Antecedent)=사람(that/who) 

A man was covered in sweat. + The man took a break.
-> A man that was covered in sweat took a break. 땀으로 덮혔던 사람은 휴식을 취했다.
-> A man who was covered in sweat took a break.
A man lives in the house. + The man is Mr. Kim.
-> A man that lives in the house is Mr. Kim. 그 하우스에 사는 사람은 Mr. Kim이다.
-> A man who lives in the house is Mr. Kim.

 

(3) 주격(Subject)의 축약(Reduction)

▶ 관계대명사 주격을 축약(Reduction) 하면 분사구문(Participle Phrase)이 되는데, "명사"를 수식하기 때문에 "형용사구(Adjective Phrase)"가 됩니다.

 

A. be 동사의 경우: "관계대명사와 be동사를 제거합니다."

I read a book that was written by George Orwell.(Adjective Clause)
I read a book that was written by George Orwell. that과 was를 제거 합니다.
I read a book written by George Orwell.(Adjective Phrase)

 

B. 일반 동사의 경우: "관계대명사를 제거하고, 동사에 ~ing를 붙입니다."

The man who sits beside me is my uncle.(Adjective Clause)
The man who sits beside me is my uncle. who를 없애고 sit에 ~ing를 붙입니다.
The man sitting beside me is my uncle.(Adjective Phrase)

 

2. 소유격(Possessive)

John read a book. + Its cover was blue.
John read a book whose cover was blue. 존은 커버가 파란 책을 읽었다.
John read a book. + The cover of it was blue.
John read a book the cover of which was blue. 존은 커버가 파란 책을 읽었다.
The lady couldn't come. One of her sons was sick.
The lady, one of whose sons was sick, couldn't come. 아들 중 한명이 아픈 그 여자는 올 수 없었다. 

 

3. 목적격(Objective)

1) 동사(Verb)의 목적격(Objective) 

 

(1) 선행사(Antecedent)=사물 

I ate the pizza"나는 그 피자를 먹었다."

​위 문장에서 목적어 the pizza를 맨 앞에 두세요.

The pizza I ate = "내가 먹은 피자"

이제 "내가 먹은 피자"를 가진 원하는 문장을 쓰면 됩니다.

​1) The pizza  I ate was tasty. (informal) 내가 먹은 피자는 맛 있었다.
2) The pizza that I ate was tasty. (semi-formal) 내가 먹은 피자는 맛 있었다.
3) The pizza which I ate was tasty. (formal) 내가 먹은 피자는 맛 있었다.

​위 세 문장 모두 목적격입니다. 1)번처럼 생략하면 informal, 2)번은 semi-formal, 3)번은 formal이 됩니다.

 

(2) 선행사(Antecedent)=사람 

I met the man. "나는 그 사람을 만났다."

-> The man I met 이 구문으로 문장을 만들어 봅니다.

1) The man ⓧ I met was Mr. Kim. (informal) 내가 만난 사람은 Mr. Kim이었다.
2) The man that I met was Mr. Kim. (semi-formal)
3) The man whom I met was Mr. Kim. (formal)
4) The man who I met was Mr. Kim. (informal) who는 주격이어서 목적격으로 쓰면 안되지만 격식차리지 않은 문장에서 흔히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험을 보는 입장이라면 정답으로 골라서는 안되는 문장입니다. 

 

2) 전치사(Preposition)의 목적격(Objective) 

This is the book. + I am looking for the book.

This is the book  I am looking for. 이것은 내가 찾던 책이다.
This is the book that I am looking for. that 절은 전치사 뒤에 쓰지 않기 때문에 붙여서 쓰지 않습니다.
This is the book for which I am looking. which가 오면 "전치사+which"로 씁니다.

 

The person is my brother. + I live with the person.

The person ⓧ I live with is my brother. 내가 같이 사는 사람은 나의 형이다.
The person that I live with is my brother.
The person with whom I live is my brother.

6/30/2024

영작문법 7 문장의 연결-종속절-명사절


종속접속사(Subordinating Conjunction)에는 "명사절(Noun Clause)", "형용사절(Adjective Clause)", "부사절(Adverb Clause)"을 만드는 접속사들이 있고, 종속접속사로 연결된 문장은 Complex Sentence(복문)로 부르며 Essay를 쓸 때 Sentence의 질을 높여 주는 중요한 도구가 됩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명사절"을 집중적으로 공부하겠습니다.

"명사절(Noun Clause)"이란 "명사(Noun)"+"절(Clause)"입니다. 쉽게 말하면 "절"이 명사 위치에 쓰인 것입니다. 그러면 명사는 어디에 쓰일까요? "주어", "보어", "목적어" 위치에 쓰이지요. 다시말해 "명사절"이 "주어, 보어, 목적어" 위치에 쓰일 때 명사절 역할을 합니다.

 

명사절(Noun Clause)은 절(Clause)이 주어, 보어, 목적어에 쓰인 것


"명사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명사절 접속사"를 알아야 합니다. "명사절 접속사"는
 that, wh- 의문사(when, where, which, who, whom, why, what, whatever, whomever, whoever, whether), How 등이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명사절 접속사를 Conjunction의 앞자 CO만 따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명사절의 위치

1) 주어자리

CO S+V V
주어자리

How he met her is unclear. 
그가 그녀를 어떻게 만났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What Mike said made me surprised. 
마이크가 말한 것이 나를 놀라게 했다.


2) 보어자리

S+V+CO S+V
        보어자리

The only problem was that we didn't have enough time.
유일한 문제점은 우리가 충분한 시간이 없었다는 것이었다.

My favourite part is when the drama ends.
내가 좋아하는 부분은 그 드라마가 끝나는 부분이다.


3) 목적어자리

(1) S+V+CO S+V
               동사의 목적어자리

I know how I can solve the problem.
나는 그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안다.

I realized that it wasn't too late.
나는 너무 늦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2) P CO S+V
     전치사의 목적어자리

I will write an essay on what makes a good leader.
나는 무엇이 좋은 리더를 만드는지에 관한 에세이를 쓸거다.


2. That 절 

 

▷ that 절은 주어, 보어, 목적어에 쓰이지만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지 않습니다.

 

1) 주어자리 

That change is needed is clear.

→ It is clear that change is needed.

주어에 that절을 쓰는 경우보다 가주어(it)를 쓰는 문장이 더 일반적이다.

 

주의: 많은 분들이 "주어 위치의 that을 생략가능한지 질문합니다"만 생략 불가능합니다.  

 

2) 보어자리 

Our plan is that we are going to build a house.

우리 계획은 집을 짓는 것이다. 

 

주의: 보어 위치의 that도 생략 불가능합니다. 

 

3) 목적어자리 

I believe that Jim is innocent.

나는 짐이 무죄라고 믿는다.

 

참고: 목적어 자리에 오는 that은 종종 informal하게 쓸 경우 생략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동사 다음에서 자주 생략됩니다. (say, tell, think, believe, know, suggest, expect, hear, be surprised, be glad, etc.)

 

Some people say that life is too short.

 Some people say life is too short.

 

주의: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에는 that절을 쓰지 않습니다.

The explorer landed on that is now Oats Coast. (X)

 The explorer landed on what is now Oats Coast. (O)

 

 

▷ 동격의 that 절

"the fact that," "the belief that," "the idea that," "the evidence that," "the dream that" 등 추상명사가 오면 that절을 동격으로 쓸 수 있습니다.

 

We appreciate the fact that water is vital to life. 

물이 생명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에 우리는 감사한다.

 

 

▷ 동사원형을 쓰는 명사절

that 절에 동사원형을 쓰는 명사절이 있습니다. Subjunctive Verb와 Imperative Adjective를 사용하는 that절 입니다. 어떤것인지 궁금하시죠. 여기 [영작문법#47링크를 클릭하세요.

 

#명사절 #that 주어 #주어자리 that은 생략 불가능 #목적어 자리 that은 생략 가능 #동격의 that 절

6/29/2024

영작문법 6 문장의 연결-등위접속사 FANBOYS

 


 

문장과 문장을 연결시켜 주는 단어를 접속사(Conjunction)라고 부르며 "등위접속사"(Coordinating Conjunction), "종속접속사"(Subordinating), "상관접속사"(Paired Conjunction)가 있습니다. 

 

[접속사(Conjunction) = 등위접속사(Coordinating Conjunction) + 종속접속사(Subordinating Conjunction) + 상관접속사(Paired Conjunction)]

 

등위접속사는 "for, and, nor, but, or, yet, so"가 있는데, 앞자만 "FANBOYS"로 외우면 기억하기 쉽습니다.

 

등위접속사는 문장 앞에 둘 수 없고, 항상 문장의 중간에 사용하여야 하며, 등위접속사로 연결된 문장은 Compound Sentence(중문)이라고 부릅니다.

 

FANBOYS를 쓸 때 컴마(comma) 찍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아래 각 FANBOYS 등위접속사 다음에 S+V의 문장이 올때 FANBOYS 바로 앞에 꼭 컴마를 찍어야 합니다

 

For

for는 because의 의미를 가지지만, formal(격식체)에서 쓰이기 때문에 informal(비격식)에서 쓰려면 since나 because를 쓰는게 좋습니다.

 

그녀는 새벽부터 일했기 때문에 피곤했다.  

She was feeling tired, for she had been working since dawn. 

 

cf) 일반적으로 for는 전치사(preposition)로 많이 사용됩니다.

 

나는 런던에 5년 동안 살았다.

I have lived in London for five years. 

 

나는 그 자전거를 100불에 샀다.
I bought the bike for $100. 

 

And

그는 한 대학에 방문했고 그 곳에 지원하였다. 

He visited a university and (he) applied to it. 

 

and 다음의 주어가 앞에 나온 주어와 같으면 생략합니다. 주어가 앞과 뒤가 다를 때는 and 앞에 comma(,)를 찍습니다.

 

하늘은 푸르고 구름은 솜털 같았다.

The sky was blue, and the clouds were fluffy.  

 

물론 and는 "문장+문장"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어+단어"도 연결합니다.

 

그녀는 음악과 역사를 가르친다.

She teaches music and history

 

셋 이상을 열거(parallel)할 때는 comma를 찍습니다.

She teaches music, art, and history

 

Nor

Nor는 앞에서 부정으로 말 한 것을 다시 받아서 말할 때 사용하며, "~도 하지 않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는 미팅에도 나오지 않았고 우리에게 전화도 하지 않았다.

He didn't come to the meeting, nor did he call us. 

 

nor 뒤에 주어+동사를 쓸 경우 주어/동사 위치를 도치시켜 사용합니다.

 

But

but은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이 서로 대조를 이룰 때 사용합니다.

 

제이슨은 커피를 좋아하지만 오늘을 차를 주문했다.

Jason usually likes coffee, but he ordered tea today. 

 

교육의 뿌리는 쓰지만 열매는 달다. (아리스토텔레스)

The roots of education are bitter, but the fruit is sweet. 

 

but은 "단어+단어" 연결에도 사용합니다.

 

Life is hard but worth it. 인생은 힘들지만 가치가 있다.

 

but은 except(~을 제외하고)의 의미로도 쓰입니다. 이 때는 "전치사"(preposition)로 쓰이는 것입니다.

 

나만 제외하고 모든 사람이 초대 받았다.

Everyone was invited but me.  

 

Or 

or는 선택을 할 경우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폴은 도서관이나 커피샵에 갈 수 있다.

Paul could go to the library, or he could go to a coffee shop.  

 

or도 "단어+단어"를 연결하는데도 사용합니다.

 

커피 마실래, 차 마실래?

Would you like coffee or tea?

 

Yet

Yet은 대조할 때 유용한 표현이며 nevertheless(그럼에도 불구하고) 또는 however(그러나)의 의미입니다. 

 

날씨는 추웠지만 우리는 좋은 시간을 보냈다.

The weather was cold, yet we had a great time. 

 

But과 비슷하게 사용되지만 yet은 때로 부정 의미에서 쓰이기도 합니다.

 

돈은 말 할 수 없지만 거짓을 진실인 것처럼 보이게 한다.(속담)

Money can't talk, yet it can make lies look true. 

 

yet이 부사로 쓰이기도 하며, 이때는 접속사가 아닙니다.

 

최상의 것이 아직 오지 않았다. (더 좋은 일이 일어날 것이다)

The best is yet to come.

The best has yet to come. 이라고 쓰기도 합니다.

"The Best is Yet to Come"이라는 Frank Sinatra의 노래도 있습니다. 링크: https://www.songfacts.com/facts/frank-sinatra/the-best-is-yet-to-come

 

So 

so는 원인(cause)과 결과(result)를 말할 때 사용하며, so 앞에 원인이 먼저 나와야 합니다.

 

날씨가 추워서 우리는 집에 머물렀다.

The weather was cold, so we stayed at home. 

 

어제는 주일이어서 우리는 교회에 갔다. 

It was Sunday yesterday, so we went to church.